카테고리 없음
플라스틱 첨가제의 종류, 사용 목적과 독성 정리
꿀귤_
2025. 4. 19. 06:57
728x90
반응형
📦 플라스틱 첨가제의 종류, 사용 목적과 독성 정리
플라스틱은 단독으로는 원하는 성능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첨가제(additives)가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사용 목적별 첨가제와 대표 물질, 그리고 독성 및 위해성까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 플라스틱 첨가제의 주요 종류와 용도
분류 | 대표 첨가제 | 용도 / 기능 |
---|---|---|
가소제 (Plasticizers) |
DEHP, DINP, ATBC | 유연성, 가공성 향상 |
난연제 (Flame Retardants) |
PBDE, HBCD, TBBPA | 인화성 감소, 화재 예방 |
산화방지제 / 열안정제 |
페놀계, 주석·바륨 화합물 | 열, 산화 분해 방지 |
자외선 안정제 (UV Stabilizers) |
HALS, Benzotriazoles | UV 변색 및 열화 방지 |
착색제 (Colorants) |
크롬, 카드뮴 안료 등 | 색상 부여 |
핵제 (Nucleating Agents) |
소르비톨계, 탈크 | 결정성 향상, 투명도 증가 |
활제 (Lubricants) |
스테아르산, 파라핀 | 마찰 저감, 흐름성 향상 |
대전방지제 (Antistatic Agents) |
계면활성제, 고분자류 | 정전기 방지 |
가교제 (Crosslinking Agents) |
DCP, 실란계 | 고분자 간 결합 형성 → 내열성↑ |
충진제 (Fillers) |
탈크, CaCO₃, 실리카 | 물성 보강, 가격 절감 |
블로킹방지제 (Anti-blocking Agents) |
실리카, 석영분말 | 필름끼리 들러붙음 방지 |
항균제 (Antimicrobial Agents) |
트리클로산, 은나노 | 세균 증식 억제 |
발포제 (Foaming Agents) |
ADC, NaHCO₃ 등 | 발포 구조 형성 (단열, 쿠션 등) |
⚠️ 주요 첨가제의 독성과 위해성
1. 프탈레이트류 (Phthalates)
- 대표물질: DEHP, DBP, BBP
- 위해성: 내분비계 교란, 생식 독성, 발암 의심
- 노출 경로: 장난감, 식품 포장, 의료기기 등
- 규제: EU/미국/한국 등에서 유아용품 사용 제한
2. 비스페놀 A (BPA)
- 사용처: 폴리카보네이트 용기, 캔 내 코팅 등
- 위해성: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 내분비계 교란
- 규제: 유럽 및 한국, 유아용 식품용기 사용 금지
3. 난연제 (PBDE, HBCD 등)
- 위해성: 생식 및 신경독성, 갑상선 기능 이상
- 환경 영향: 지속성 유기오염물질(POPs), 생물 축적
- 규제: 스톡홀름 협약에 따라 일부 물질 금지
4. 중금속 기반 안정제 (납, 카드뮴 등)
- 사용처: PVC 가공 안정제, 착색제
- 독성: 신경계, 신장 손상 및 발암 가능성
- 규제: RoHS 지침, 한국 환경부 고시 등에서 제한
5. 자외선 안정제 및 기타
- 대표물질: HALS, 벤조트리아졸 등
- 환경성: 일부 자외선 안정제는 분해 시 독성 물질 생성 가능
📌 국내외 규제 및 참고 자료
- IPEN 보고서: Plastics & Toxic Additives
- EU REACH / RoHS 규제: ECHA 홈페이지
- 한국 환경부 고시: me.go.kr
- 화학물질 MSDS: KOSHA
✅ 마무리 정리
첨가제 | 주요 기능 | 우려 독성 |
---|---|---|
프탈레이트 | 가소제 (유연성) | 내분비계 교란, 생식독성 |
BPA | 투명성 향상, 내열성 | 호르몬 교란 |
난연제 | 불에 안 타게 함 | 신경독성, 갑상선 문제 |
중금속 | 안정제, 착색제 | 신장, 간 손상 |
UV 안정제 | 변색, 열화 방지 | 환경성 독성 가능성 |
분류 | 주요 기능 | 대표 예시 | 유해성 우려 |
---|---|---|---|
핵제 | 결정성↑, 투명성↑ | 소르비톨계, 탈크 | 매우 낮음 |
활제 | 흐름성↑, 마찰↓ | 스테아르산, 파라핀 | 낮음 |
대전방지제 | 정전기 방지 | 계면활성제, 고분자 | 일부 피부자극 가능 |
가교제 | 고분자간 결합↑ | DCP, 실란계 | 고온 시 유해 가스 |
충진제 | 물성 보강, 원가절감 | 탈크, CaCO₃, 실리카 | 미세먼지 주의 |
블로킹방지제 | 필름 끈적임 방지 | 실리카, 지르코늄계 | 안전성 높음 |
✔ 플라스틱 첨가제는 소재 성능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인체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성 평가와 규제가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