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사업

유통표준코드(Distribution Standard Code)란?

꿀귤_ 2025. 3. 24. 07:00
반응형

유통표준코드(Distribution Standard Code)란? 

 

유통표준코드(Distribution Standard Code)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유통 과정에서 효율적인 관리와 추적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코드 체계를 의미.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함. 쉽게 말해 상품 뒤에 찍혀있는 바코드 시스템!!!! 

  • 제품의 식별 및 추적
  • 재고 관리 및 물류 최적화
  • 유통 과정 투명성 확보
  • 전자상거래 및 글로벌 무역 표준화

 

대표적인 유통표준코드 종류:

  1. GTIN (Global Trade Item Number, 글로벌 무역 품목 번호)
    •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상품 식별 코드
    • 바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됨
    • GTIN-13(EAN-13), GTIN-12(UPC), GTIN-14 등 다양한 형식 존재
  2. EAN (European Article Number, 유럽 상품 번호)
    • 유럽에서 개발된 바코드 시스템 (현재 GS1에서 관리)
    • 대부분 GTIN-13(EAN-13) 형식을 사용
  3. UPC (Universal Product Code, 범용 상품 코드)
    • 북미 지역에서 주로 사용
    • GTIN-12 형식과 동일
  4.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국제 표준 도서 번호)
    • 도서를 식별하는 코드 (ISBN-10, ISBN-13)
  5. QR 코드 및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 제품 정보, URL 등을 포함한 2D 코드
  6.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바코드보다 더 발전된 형태로, 전파를 이용해 제품을 식별

 

유통표준코드(UPC) 또는 기타 상품 식별 코드(예: EAN, GTIN)는 필수는 아니지만, 대형 유통망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예: 아마존, 월마트, 대형 마트 등)에 제품을 공급하려면 필수인 경우가 많습니다.

필수 여부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아마존, 이베이, 월마트 등에서는 제품 등록 시 UPC 또는 EAN을 요구함.
  • 대형 오프라인 유통망: 대형 마트(이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등)에서 납품을 받으려면 GTIN(UPC/EAN)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소규모 유통 및 자체 판매: 개인 쇼핑몰, 자체 유통망에서는 필수는 아니지만, 제품 관리 및 판매 효율성을 위해 등록하는 것이 좋음.

🔹 대체 방법

  1. 브랜드 등록 후 ASIN 사용: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에서는 브랜드 등록하면 자체 ASIN(아마존 제품 코드)으로 제품을 등록할 수 있음.
  2. GS1 코드 발급: GTIN(UPC/EAN)을 공식적으로 발급받고 사용 가능.
  3. 내부 SKU 사용: 자체적으로 SKU를 만들어 관리할 수도 있음(내부 전산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

💡 결론:

  • 대형 유통망과 글로벌 마켓 진출을 고려한다면 필수
  • 자체 유통(소규모 쇼핑몰, SNS 판매 등)에서는 선택적
  • 장기적으로는 제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록하는 것이 유리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