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친환경인증 3

🔍 국내 주요 친환경 인증 마크

🌿 '친환경' 인증, 어떻게 구분할까?  1. 환경표지인증 (Korea Eco-Label)발행 기관: 환경부 (운영: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인증 기준:자원 절약: 제품의 생산 및 사용 과정에서 자원의 효율적 사용 여부.유해물질 저감: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사용 최소화.에너지 절감: 제품 사용 시 에너지 소비 효율성.환경 영향 최소화: 제품의 전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최소화.적용 제품군: 생활용품, 가전제품, 건축자재 등 다양한 분야.추가 정보: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마크 소개2. 환경성적표지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EPD)발행 기관: 환경부 (운영: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인증 기준:제품 전과정 평가(LCA): 생산, 유통, 사용, 폐기 과정에서..

환경 2025.01.04

[친환경 인증] ISCC EU / ISCC PLUS / REDcert²

친환경 인증 ISCC EU / ISCC PLUS / RED Cert2 ISCC 란?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는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및 탄소 발자국 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인증 시스템입니다. 주로 농업,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플라스틱 산업 등에서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SCC는 공급망의 모든 단계에서 추적성과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 국내 주요기업에서도 ISCC를 취득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CC 인증은 아래와 같이 있지만 오늘은 ISCC EU, ISCC PLUS 만 이야기 할 예정이에요. ISCC EU와 ISCC PLUS 비교 ..

환경 2024.10.15

환경표지/환경성적표지/저탄소제품 인증 차이는?

환경표지/환경성적표지/저탄소제품 인증항목환경표지 (Eco-label)환경성적표지 (EPD)저탄소제품 인증마크목적친환경 제품 인증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소비 유도제품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탄소발자국을 줄인 저탄소 제품을 인증하여 온실가스 감축 장려대상생활용품, 가전, 사무기기 등 다양한 제품군*사무용 기기·가구 및 사무용품, 주택·건설용 자재·재료 및 설비, 개인용품 및 가정용품, 가정용 기기·가구, 교통·여가·문화 관련 제품, 산업용 제품·장비, 복합용도 및 기타, 서비스 등 「환경표지대상제품 및 인증기준」 고시 [별표 1] 및 [별표 2]에 따른 대상 제품1차 농산물과 의료기기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제품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중 탄소배출을 일정 수준 이상 줄인 제품평가..

환경 2024.10.1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