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걔 원래 그래" 영어로?
원어민처럼 활용하는 완벽 가이드 (Feat. 상황별 예시와 대화 팁)
1. 가장 보편적이고 활용도 높은 표현들
어떤 사람의 **고유한 성격이나 습관, 행동 방식**을 설명할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가장 넓은 범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안전한 표현들입니다.
1.1. That's just how he/she is.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
- **의미:** "그게 그냥 그 사람이야", "그는 원래 그래". 가장 직설적이고, 어떤 사람의 본성이나 변치 않는 습관을 설명할 때 광범위하게 쓰입니다. 가장 안전하고 흔한 표현이죠.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어떤 사람의 **고유한 성격이나 현재의 습관**을 설명할 때.
- 상대방이 특정 행동에 대해 의아해하거나 놀랄 때, "**놀라지 마, 걔 원래 그래.**" 같은 뉘앙스로 설명해줄 때.
- 특정 상황에 대해 **체념하거나 이해하는 태도**를 보일 때.
대화 예시:
A: "Why is Mark always late for team meetings? It's frustrating!" (마크는 왜 항상 팀 회의에 늦어? 정말 답답해!)
B: "I know, but **that's just how he is.** He's not trying to be disrespectful; he just has a different sense of time." (알아, 하지만 걔 원래 그래. 무례하게 굴려는 게 아니라, 그냥 시간 개념이 좀 달라.)
1.2. He's always been like that. (과거부터 쭉 그래왔음을 강조)
- **의미:** "걔는 예전부터 쭉 그랬어." 어떤 사람의 특정 성향이나 행동이 **과거 어느 시점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는 것을 강조할 때 씁니다. 일시적인 것이 아닌, 고유한 특성임을 나타내죠.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오랜 기간 알고 지낸 사람의 **변치 않는 특징**을 말할 때. (예: 어릴 때부터, 대학 때부터)
- 누군가의 행동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고유한 특성**임을 설명할 때.
대화 예시:
A: "I can't believe Sarah is still so shy even after all these years." (사라가 여전히 그렇게 수줍어한다니 믿을 수가 없어, 이렇게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B: "Yeah, **she's always been like that.** I remember her being quiet even in kindergarten." (응, 걔 원래 그랬어. 유치원 때부터 조용했던 걸로 기억해.)
1.3. That's typical of him/her. (그 사람답다, 전형적인 행동임을 표현)
- **의미:** "그게 그 사람답지", "그게 걔 전형적인 모습이야". 어떤 행동이 그 사람이라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일 때 사용합니다.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누군가의 행동이 **전혀 놀랍지 않을 때**: "역시 걔는 이럴 줄 알았어."
- 특정 인물의 **상투적인 반응이나 습관**을 언급하며 공감을 얻을 때.
대화 예시:
A: "John just pulled another all-nighter to finish the project." (존이 프로젝트 끝내려고 또 밤샘했어.)
B: "Really? Well, **that's typical of him.** He's a workaholic." (정말? 음, 걔 원래 그래. 그는 일 중독자잖아.)
2. 특정 '방식'이나 '습성'에 초점을 맞출 때
단순한 성격보다는 어떤 사람이 일을 처리하거나 행동하는 **'방법'이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춰 설명할 때 유용한 표현들입니다.
2.1. That's his way of doing things. (그 사람 고유의 방식)
- **의미:** "그게 그 사람의 방식이야", "걘 원래 그런 식으로 해". 개인의 **고유한 접근법이나 처리 방식**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다소 고집스러운 뉘앙스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누군가가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일을 처리할 때.
- 상대방이 그 사람의 행동 방식에 의문을 가질 때 설명해 줄 때.
대화 예시:
A: "Why does she always double-check everything? It takes so much time." (그녀는 왜 항상 모든 걸 두 번씩 확인해? 너무 시간이 많이 걸려.)
B: "That's her way of doing things. She's very thorough and wants to avoid mistakes." (걘 원래 그런 식이야. 그녀는 매우 꼼꼼하고 실수를 피하고 싶어 해.)
2.2. That's just how he operates. (업무/처리 방식 강조)
- **의미:** "그게 그냥 그 사람이 일하는 방식이야", "그렇게 처리하는 게 걔 스타일이야". 특히 비즈니스나 업무 상황에서 어떤 사람이 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나 '절차'**처럼 고유한 방식을 설명할 때 강조하여 사용합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직장 동료나 상사의 업무 스타일을 설명할 때.
- 특정 인물의 일관된 전략이나 접근법을 언급할 때.
대화 예시:
A: "Our boss is so hands-off. He just gives us a goal and lets us figure out the rest." (우리 상사는 너무 관여를 안 해. 목표만 주고 나머지는 우리가 알아서 하게 해.)
B: "Yeah, that's just how he operates. He trusts his team to deliver." (응, 걘 원래 그런 식이야. 그는 팀이 해낼 거라고 믿는 거지.)
3. "처음부터 그랬다"는 것을 강조할 때
어떤 사람의 특정 행동 방식, 태도, 또는 성격이 **아주 처음부터 (시작부터, 첫날부터) 그랬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3.1. He's been like that from day one. (시작 시점의 강력한 강조)
- **의미:** "걔는 첫날부터 그랬어", "처음부터 그랬어". 그 사람의 특성이 **시작점부터 변함없이** 이어져 왔음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타고난 성격이거나 아주 초창기부터 형성된 것임을 강조할 때 특히 효과적입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누군가의 **고유하고 변하지 않는 본성**을 설명할 때.
-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특정 습관이나 성격을 강조하며 **체념하거나 이해하는 뉘앙스**를 보일 때.
대화 예시:
A: "I still can't believe how competitive Steve is. Even during board games!" (스티브가 얼마나 경쟁적인지 아직도 믿을 수가 없어. 보드게임 할 때도 말이야!)
B: "Oh, trust me. **He's been like that from day one.** I saw him compete over a juice box in kindergarten." (아, 내 말 믿어. 걔 원래 처음부터 그랬어. 유치원 때 주스 한 팩 가지고도 경쟁하는 걸 봤어.)
4. (비격식) 빈정대거나 불평, 혹은 쿨한 표현
조금 **비격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빈정대거나 불평**할 때, 혹은 단순히 **쿨하게 받아들일 때** 사용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4.1. That's just him. (간결하고 때론 부정적 뉘앙스)
- **의미:** "그게 그냥 걔야". "That's just how he is."와 유사하지만, 조금 더 간결하며 때로는 **부정적인 뉘앙스**나 경멸의 뉘앙스를 담을 수 있습니다. "쟤는 원래 저래, 뭘 기대해?" 같은 느낌.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누군가의 **짜증 나거나 반복적인 단점**을 언급하며 포기하는 듯한 태도를 보일 때.
-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고 싶지 않을 때.
대화 예시:
A: "Did you hear what Mark said about the project? So rude!" (마크가 프로젝트에 대해 뭐라고 했는지 들었어? 너무 무례하더라!)
B: "Yeah, I know. **That's just him.** Don't let it get to you." (응, 알아. 걔 원래 그래. 너무 신경 쓰지 마.)
4.2. That's just how he rolls. (비격식, '걔 스타일')
- **의미:** "그게 그냥 걔 스타일이야", "걔는 원래 그런 식으로 다녀/행동해". 주로 젊은 층에서 많이 쓰이는 **매우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어떤 사람의 독특한 행동 방식이나 태도를 쿨하게 받아들이거나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친구의 **독특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설명할 때.
- 어떤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이나 고유한 방식을 **가볍게 언급**하며 "신경 쓰지 마"라는 뉘앙스를 줄 때.
대화 예시:
A: "Did you see Brian's new hair color? It's so wild!" (브라이언 새 머리색 봤어? 완전 파격적이야!)
B: "Haha, yeah. **That's just how he rolls.** He loves to express himself." (하하, 응. 걔 원래 그런 식이야. 자기를 표현하는 걸 좋아하잖아.)
4.3. He's set in his ways. (고집이 세서 변하지 않는다는 뉘앙스)
- **의미:** "그는 자기 방식에 갇혀 있어", "그는 자기 고집대로 해". 어떤 사람이 자신의 습관이나 행동 방식을 **바꾸려 하지 않고, 변화에 저항하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종종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설득하기 어렵다는 점을 내포합니다.
- **자주 사용하는 상황:**
- 어떤 사람의 **고집스러운 면**이나 변화를 싫어하는 성향을 설명할 때.
- 오래된 습관 때문에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
대화 예시:
A: "I tried to get my dad to use a smartphone, but he refuses." (아빠한테 스마트폰 쓰라고 해봤는데, 거부하시네.)
B: "Yeah, it's tough. **He's set in his ways** when it comes to technology." (응, 쉽지 않을 거야. 기술에 관해서는 걘 원래 그런 식이야.)
"걔 원래 그래"라는 한국어 표현은 단순한 습관 설명부터, 약간의 체념, 심지어는 비난의 뉘앙스까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합니다. 영어에서도 이처럼 한 가지 표현으로 모든 상황을 커버하기보다는, 말하고자 하는 **상황, 대상과의 관계, 그리고 전달하고 싶은 감정**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화나 미드를 보면서 배우들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을 쓰는지 유심히 관찰하면 더욱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