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tter life/English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put” 구동사 14가지

반응형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put” 구동사 14가지

 

영어 동사 put는 원래 “놓다” 또는 “두다”라는 아주 기본적인 뜻을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 "put the book on the table"는 “책을 탁자 위에 놓다”라는 뜻이죠.

그런데 put 뒤에 전치사나 부사가 붙으면 원래의 “놓다”라는 뜻이 변해서, 다양한 관용적인 의미를 가지게 돼요.

 

 

Put aside: 기본적으로 “따로 놓다”라는 뜻인데, 여기서 발전해서 “돈을 저축하다” 또는 “감정이나 의견을 잠시 미뤄두다”라는 의미로 쓰여요.
예: I put aside some money for a vacation. (여행 자금을 따로 저축해둔다.)
Put off: “뒤로 미루다”라는 기본 느낌에서 발전해, “일을 미루다” 또는 “약속을 연기하다”라는 뜻이에요.
예: I keep putting off cleaning my room. (방 청소를 계속 미루고 있어.)
Put up with: 원래의 “놓다”와는 다르게, “참다” 또는 “견디다”의 의미로 발전했어요.
예: I can’t put up with his constant complaining. (그의 끊임없는 불평을 참을 수가 없어.)
Put on: 기본적으로 “입다”라는 뜻이에요. 그런데 “put on an act”처럼 쓰이면 “연기하다, 꾸며내다”의 의미가 돼요.
예: She put on her coat before going out. (나가기 전에 코트를 입었어.)
또 다른 예: He was putting on a show to impress everyone. (모두를 감동시키려고 과시했어.)

 


1. Put Yourself Together

뜻: 감정을 정리하고 침착해지다, 정신 차리다
설명: 힘들어하거나 감정에 휩싸인 친구에게 “정신 차리라”며 조언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Hey, you seem really off today. What’s up?”
A: “야, 오늘 왠지 평소랑 달라 보여. 무슨 일 있어?”

B: “I just got some rough news. I feel totally overwhelmed.”
B: “방금 좀 안 좋은 소식을 들었어. 완전 정신이 없네.”

A: “I know it’s hard, but try to put yourself together. Take a minute to breathe.”
A: “힘들겠지만, 정신 차리고 한숨 돌려봐. 잠깐만 숨 고르고.”


2. Put Aside

뜻: (돈이나 자원 등을) 따로 떼어놓다, 저축하다; 또는 (감정, 의견 등)을 잠시 미뤄두다
설명: 재정 관리할 때나, 갈등 상황에서 의견 차이를 잠시 제쳐둘 때 쓰입니다.

a. 돈을 저축할 때

대화 예시:

A: “I really want to travel this summer, but flights are so expensive.”
A: “이번 여름 여행 가고 싶은데, 비행기 티켓이 너무 비싸.”

B: “I know what you mean. I’ve been putting aside a bit of money each month for a trip.”
B: “너 말 맞아. 나도 매달 조금씩 여행자금을 따로 모으고 있어.”

b. 감정이나 의견을 제쳐둘 때

대화 예시:

A: “We’ve been fighting over the smallest things lately.”
A: “최근에 사소한 일로 계속 다투고 있어.”

B: “Maybe we should put our differences aside and figure this out calmly.”
B: “서로의 차이는 잠시 제쳐두고 차분하게 해결해보자.”


3. Put Off

뜻: 미루다, 연기하다
설명: 해야 할 일을 나중으로 미루거나, 약속이나 이벤트를 연기할 때 사용합니다.

대화 예시:

A: “Are you starting the project today?”
A: “오늘 프로젝트 시작할 거야?”

B: “I’ve been putting it off because I can’t decide where to begin.”
B: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몰라서 계속 미루고 있어.”

A: “Sometimes you just need to dive in. It’ll get easier once you start.”
A: “가끔은 그냥 시작하는 게 좋아. 시작하면 점점 쉬워질 거야.”


4. Put Up With

뜻: 참다, 견디다
설명: 불편하거나 짜증나는 상황, 사람을 견디거나 참아내야 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I can’t believe how loud the music is every night next door.”
A: “옆집에서 매일 밤 음악 소리가 이렇게 시끄러울 수가 있나?”

B: “I don’t know how I put up with it, but I usually just wear my headphones.”
B: “어떻게 참는지 모르겠어. 보통 헤드폰 끼고 듣지.”


5. Put Out

뜻: (불을) 끄다; (사람을) 불편하게 하다, 번거롭게 하다
설명: 캠핑이나 야외 활동 중 불을 끌 때, 또는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해 불편함을 느낄 때 사용합니다.

a. 불 끄기

대화 예시:

A: “Did you remember to put out the fire before leaving the campsite?”
A: “캠프장에서 나가기 전에 불 끄는 거 잊지 않았어?”

B: “Absolutely. I double-checked to make sure it was completely out.”
B: “물론이지. 완전히 꺼졌는지 두 번 확인했어.”

b. 불편함 표현

대화 예시:

A: “My flight got delayed again this morning.”
A: “오늘 아침에 내 비행기가 또 지연됐어.”

B: “That really put me out. I missed my connecting flight!”
B: “그거 정말 난리네. 환승 비행기 놓쳤어!”


6. Put On

뜻: (옷 등을) 입다; (연기나 행동을) 꾸며내다
설명: 외출 준비할 때 옷을 입거나, 누군가가 꾸며내는 행동(가식)을 할 때 사용됩니다.

a. 옷 입기

대화 예시:

A: “What’s your plan for tonight’s party?”
A: “오늘 밤 파티 계획은 뭐야?”

B: “I’m going to put on my favorite jacket—it really stands out.”
B: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재킷 입을 거야. 눈에 확 띄거든.”

b. 가식 부리기

대화 예시:

A: “Did you see how Jake acted at the meeting?”
A: “제이크가 회의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봤어?”

B: “Yeah, he was totally putting on an act to seem more confident.”
B: “응, 너무 과장되게 행동해서 자신 있는 척 하더라.”


7. Put Down

뜻: (1) 적어두다; (2) 깎아내리다, 비하하다
설명: 할 일을 메모할 때나, 다른 사람을 깎아내릴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a. 메모하기

대화 예시:

A: “I need to call the dentist tomorrow.”
A: “내일 치과에 전화해야 해.”

B: “Better put it down on your calendar so you won’t forget.”
B: “달력에 적어두는 게 좋겠어, 잊지 않으려면.”

b. 깎아내리기

대화 예시:

A: “I can’t believe he mocked Sarah in front of everyone.”
A: “그가 모두 앞에서 사라를 깎아내린 거 믿을 수 있어?”

B: “Yeah, he really put her down for a minor mistake.”
B: “응, 사소한 실수 하나 때문에 그녀를 무시했어.”


8. Put Together

뜻: 조립하다, 모으다, 정리하다
설명: 물건을 조립하거나, 아이디어나 정보를 하나로 모을 때 쓰입니다.

a. 물건 조립하기

대화 예시:

A: “How did you manage to assemble that new desk so quickly?”
A: “새 책상을 이렇게 빨리 조립한 비결이 뭐야?”

B: “I put it together in less than an hour, thanks to the clear instructions.”
B: “명확한 설명서 덕분에 한 시간도 안 걸렸어.”

b. 아이디어 정리하기

대화 예시:

A: “I’m overwhelmed with all these ideas for my presentation.”
A: “발표할 아이디어가 너무 많아서 머리가 복잡해.”

B: “Just put together your main points first, then expand on them.”
B: “먼저 핵심 포인트부터 정리하고, 그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면 돼.”


9. Put In

뜻: (노력이나 시간을) 들이다; (설치하다, 넣다)
설명: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거나, 기계나 부품 등을 설치할 때 쓰입니다.

a. 노력 투자하기

대화 예시:

A: “Your project turned out amazing! How’d you do it?”
A: “네 프로젝트 진짜 멋지네! 어떻게 해낸 거야?”

B: “I put in a ton of extra hours last week to get everything done on time.”
B: “지난주에 추가로 엄청난 시간을 투자해서 제시간에 마무리했어.”

b. 설치 작업

대화 예시:

A: “The new software update isn’t working on my computer.”
A: “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내 컴퓨터에서 작동 안 하는데.”

B: “They put in a new patch yesterday; maybe try restarting your system.”
B: “어제 새로운 패치를 설치했으니, 컴퓨터를 재부팅해보는 게 어때?”


10. Put Forward

뜻: (아이디어, 의견 등을) 제안하다
설명: 회의나 토론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내놓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I have an idea for how we can boost our sales next quarter.”
A: “다음 분기에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어.”

B: “Go ahead and put it forward during the meeting. I’m sure everyone will listen.”
B: “회의 때 그 아이디어를 제안해봐. 분명 다들 관심 가질 거야.”


11. Put Back

뜻: (일정, 계획 등을) 연기하다, 미루다
설명: 예정된 약속이나 이벤트를 나중으로 미룰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We were meeting at 12 for lunch, right?”
A: “우리 12시에 점심 먹기로 했지?”

B: “Yeah, but something urgent just came up. Can we put it back to 12:45?”
B: “응,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서 12시 45분으로 미뤄도 될까?”

A: “Sure, that works for me.”
A: “좋아, 나한텐 괜찮아.”


12. Put Across

뜻: (아이디어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다
설명: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명확하게 전달할 때 쓰이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I tried to explain my plan to the team, but I’m not sure they understood.”
A: “내 계획을 팀에 설명하려고 했는데, 잘 전달됐는지 모르겠어.”

B: “Maybe you could put your ideas across more clearly with some examples.”
B: “좀 더 명확한 예시를 들어서 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

A: “I’ll work on that for the next meeting.”
A: “다음 회의 때는 그 점을 개선해볼게.”


13. Put Your Foot Down

뜻: 단호하게 말하다, 결정을 내리다
설명: 상대방에게 한계나 규칙을 명확히 전달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대화 예시:

A: “My sister keeps borrowing my clothes without asking.”
A: “내 여동생이 계속 내 옷을 허락 없이 가져가.”

B: “You should put your foot down and tell her that it’s not okay.”
B: “단호하게 말해서, 그건 안 된다고 알려야 해.”

A: “You’re right. I need to set some clear boundaries.”
A: “그래, 명확한 한계를 정해야겠어.”


14. Put Your Money Where Your Mouth Is

뜻: 말한 것을 행동이나 실제 지출로 증명하다
설명: 상대방의 말이 사실임을 행동이나 재정적 지원으로 보여주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대화 예시:

A: “You keep bragging about your cooking skills.”
A: “계속 네 요리 솜씨 자랑하는데…”

B: “Alright, I’ll put my money where my mouth is. Dinner at my place this weekend—my treat!”
B: “그래, 말한 대로 행동으로 보여줄게. 이번 주말 내 집에서 저녁 대접할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