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플라스틱 물성 시험 완벽 정리 🔍 ASTM vs ISO 규격 비교 & 시험 방법 총정리
플라스틱은 현대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소재입니다. 그러나 같은 소재명이라도 성능과 품질은 천차만별이죠. 따라서 정확한 물성 평가를 통해 재료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플라스틱 물성 평가에 사용되는 국제 시험 규격(ASTM, ISO)을 기반으로, 각 시험 항목의 목적, 단위, 시험 방법, 그리고 ASTM과 ISO 간 차이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 ASTM vs ISO 시험 규격의 차이점
항목 | ASTM | ISO |
---|---|---|
정식 명칭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주 사용 지역 | 미국 및 북미 | 전 세계 (유럽, 아시아 등) |
특징 | 산업 현장 중심, 빠른 개정 | 국가 간 표준 통일성 강조 |
차이점 | 시편 크기, 시험 속도 등 세부 조건 다름 | 원칙은 같으나 수치 일치하지 않음 |
※ 예시: ASTM D638과 ISO 527은 모두 인장 강도 측정용이지만 시편 형상과 인장 속도 등 조건이 다르므로 수치 비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플라스틱 주요 시험 항목별 규격 및 시험 방법
1.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 대표 규격: ASTM D638 / ISO 527-2
- 시험 목적: 재료가 끊어질 때까지 견디는 인장 하중 측정
- 시험 방법: 시편 양단을 고정 후 일정 속도로 잡아당김 → 파단 시 하중, 신율, 인장강도 측정
- 차이점: ASTM은 Type I 시편 사용, 인장 속도 5mm/min, ISO는 ISO 1A 타입 시편에 50mm/min 사용 등 세부 조건 다름
2. 굴곡 강도 (Flexural Strength)
- 대표 규격: ASTM D790 / ISO 178
- 시험 목적: 재료의 휘는 저항력 측정 (3점 굽힘 방식)
- 시험 방법: 시편 양단 지지 후 중앙을 누름 → 최대 하중 시 응력 계산
- 차이점: ASTM은 변형률 5% 기준, ISO는 항복 전 최대 하중 기준으로 차이 있음
3. 충격 강도 (Impact Strength)
- 대표 규격: ASTM D256 (Izod), ISO 179-1 (Charpy)
- 시험 목적: 재료가 외부 충격에 얼마나 견디는지 측정
- 시험 방법: 노치 넣은 시편에 추를 타격 → 파괴 시 흡수 에너지 측정 (kJ/m²)
- 차이점: Izod는 수직 고정, Charpy는 수평 지지 방식으로 직접 수치 비교 불가
4. 멜트 플로우 인덱스 (MFI, MFR)
- 대표 규격: ASTM D1238 / ISO 1133
- 시험 목적: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흐름성 평가 (가공성)
- 시험 방법: 일정 온도와 하중에서 압출된 수지의 g/10min 측정
- 차이점: pre-heating 시간, 측정 모드 등 일부 세부 조건 다름
5. 열변형 온도 (HDT)
- 대표 규격: ASTM D648 / ISO 75
- 시험 목적: 일정 하중에서 열로 인해 변형되기 시작하는 온도 측정
- 시험 방법: 시편에 하중을 주고 온도
7. 밀도 / 경도 / 크리프 / 전기 특성 등
- 밀도: ASTM D792 / ISO 1183 — 아르키메데스 원리 이용 (g/cm³)
- 경도: ASTM D2240 / ISO 868 — 쇼어 A, D 측정
- 크리프: ASTM D2990 / ISO 899 — 장시간 하중 후 변형률 측정
- 전기적 특성: ASTM D149 / IEC 60243 — 절연 파괴 전압 등 측정
🧩 마무리 요약
- 플라스틱 물성 시험은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 인증 대응을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 ASTM과 ISO는 동일 목적의 시험이라도 조건이 다르므로 수치 비교 전 반드시 기준 확인이 필요합니다.
- 각 시험 항목은 용도(사출, 필름, 전기부품 등)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 특정 시험 항목이나 규격에 대한 자료, 실제 TDS 해석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문의 주세요. 실무 중심으로 더 깊게 풀어드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