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CA (Life Cycle Assessment) 가이드
✅ 1. LCA란?
LCA는 제품 또는 서비스가 전 생애주기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표준 방법입니다.
(ISO 14040~44, 14067 기준)
✅ 2. LCA의 목적
- 제품 탄소배출량, 물사용량, 폐기물 등 수치화
- ESG 보고서 및 탄소회계(Scope 3) 기반 자료 제공
- EPD, ISCC GHG 등 환경 인증 대응
- 친환경 설계 개선 및 고객사 대응용 데이터 확보
✅ 3. LCA의 종류
종류 | 시스템 경계 | 설명 |
---|---|---|
Cradle to Gate | 자원 채굴 ~ 공장 출하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형 |
Cradle to Grave | 자원 채굴 ~ 사용 ~ 폐기 | 제품 전체 생애주기 평가 |
Gate to Gate | 사업장 입고 ~ 출하 | 공정 단위 또는 공장단위 분석 |
Well to Wheel | 연료 생산 ~ 운행 | 바이오연료 및 자동차 분야에 특화 |
✅ 4. LCA 4단계 구조 (ISO 14044 기준)
- 목적 및 범위 정의
- LCI (Life Cycle Inventory)
- 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 해석 및 개선 도출
✅ 5. LCI vs LCA 차이
구분 | LCI | LCA |
---|---|---|
정의 | 투입/배출 데이터를 수집 | 환경영향으로 변환하여 평가 |
예시 | 전기 2.5kWh 사용, CH₄ 배출 0.03kg | 탄소배출량 총합 1.5kg CO₂-eq |
✅ 6. 탄소계수 계산 방법
원료 1kg 생산 시 배출되는 CO₂-eq = 투입자원 × 배출계수 + 에너지 + 수송거리 기준 환산
✅ 7. LCA 관련 인증
인증명 | 기준 | 목적 |
---|---|---|
EPD | ISO 14025 | 환경성적표지 인증 |
Carbon Trust | PAS 2050 | 탄소발자국 라벨링 |
ISO 14067 | CO₂ 기준 | LCA 보고서 작성 표준 |
ISCC Add-on GHG | ISCC PLUS | Bio/Circular 원료 CO₂ 감축 입증 |
✅ 8. 주요 사이트 및 데이터 플랫폼
- ecoinvent – LCI DB (유료)
- OpenLCA – 무료 LCA 툴
- GREET – 바이오 연료 및 소재 특화 (무료)
- 탄소정보 플랫폼 (환경부) – 한국 배출계수
- SimaPro – LCA 전문가용 유료 도구
- GABI Software – 산업재 중심 LCA 툴
✅ 9. 실무 적용 절차
- 제품 기능단위 정의 (예: 1kg, 1개, 1m²)
- 투입자원 및 에너지 수집 (LCI)
- 배출계수 확보 후 계산 (CO₂-eq 환산)
- 결과를 정리해 보고서 작성
- 제3자 검증 필요 시 인증기관과 협의
✅ 실무용 추천 도구
- OpenLCA + ecoinvent Lite
- 엑셀 기반 탄소계수 계산표
- Scope 3 자동화 계산 툴(API 연동)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