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 대상 확대! 최종 제품 생산자로 변경
환경부가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확대를 위해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에는 페트(PET)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이 재생원료를 사용해야 했지만,앞으로는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까지 그 의무가 확대됩니다.
✅ 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
💡 의무 대상 확대
- 기존: 연간 1만 톤 이상 페트 원료 생산 기업 (2곳)
- 변경: 연간 5000톤 이상 페트를 사용하는 최종 제품 생산 기업 (10곳으로 증가)
💡 대상 업종 변경
- 기존: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 변경: 생수 및 기타 비알코올 음료 제조업
💡 재생원료 사용 목표 강화
- 기존: 페트 원료 생산자가 3% 이상 재생원료 사용
- 변경: 최종 제품 생산자로 의무 변경, 2030년까지 30% 확대 목표
🔎 왜 이런 변화가 필요할까?
🌍 해외는 이미 앞서가고 있다!
- 유럽연합(EU) 🇪🇺 : 2025년부터 페트병에 재생원료 25% 의무화, 2030년에는 30%
- 미국 캘리포니아주 🇺🇸 : 2022년 15% → 2025년 25% → 2030년 50%
📌 한국의 기존 정책 문제점
- 원료 생산자에게만 의무를 부여 → 최종 제품 생산자가 사용하지 않으면 무의미 😕
- 최종 제품 생산자까지 의무를 확장해야 실질적인 재생원료 사용 확대 가능!
🏭 기업들은 어떻게 달라질까?
📌 기업 부담 증가?
- 신재 플라스틱보다 재생원료 가격이 높아 추가 비용 발생 💰
- 규제 대상 기업: 기존 2곳 → 10곳으로 확대
📌 정부의 지원 정책
- 재생원료 사용 기업에는 혜택 제공
- ✅ EPR(생산자책임재활용) 분담금 감면
- ✅ 페트병 기준, ㎏당 153원 감면
- 온실가스 감축 효과 홍보
- 재생원료를 사용하면 탄소 배출이 줄어든다는 인식 확산
🚀 앞으로 어떻게 바뀔까?
📢 재생원료 사용 의무 대상 확대
✔ 현재: 연간 5000톤 이상 사용하는 기업
✔ 향후: 연간 1000톤 이상 사용하는 기업까지 확대 검토
📢 재생원료 사용 품목 확대
✔ 현재: 페트병 중심
✔ 향후: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화장품 용기까지 적용 확대 예정
📢 재생원료 사용 목표
✔ 2030년까지 최종 제품의 재생원료 사용률 30% 달성 🎯
728x90
반응형
LIST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텀블러 & 에코백, 정말 환경을 위한 선택일까? (0) | 2025.03.20 |
---|---|
그린바이오?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25년 1월 3일 시행) (1) | 2025.03.09 |
🏢 EU CSRD / CSDDD 개정안: 핵심 변화와 기업 영향 분석 (0) | 2025.02.28 |
2025 트럼프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후퇴 (0) | 2025.02.12 |
LA산불 현황 및 피해(미국 역사상 가장 큰 피해규모?) (1)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