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재집권 이후, 친환경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기존 화석 연료 중심의 경제정책을 다시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1️⃣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장려 및 친환경 제품 규제 완화
🔹 주요 내용:
- 2025년 2월 10일, 트럼프 대통령은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장려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
- 연방 정부 기관 내에서 종이 빨대 사용을 금지하고, 기존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유지할 것을 권고.
-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플라스틱 사용 제한 정책을 뒤집는 조치로 평가됨.
-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재선 캠페인 당시에도 "플라스틱 빨대가 더 튼튼하다"며 트럼프 로고가 새겨진 빨대를 판매한 바 있음.
🔹 시사점:
✔ 바이오플라스틱 기반 친환경 대체품(예: PLA, PHA 빨대)의 미국 내 수요 감소 가능성
✔ 미국 친환경 패키징 시장의 불확실성 증가 → 유럽 및 아시아 시장으로의 전환 필요

2️⃣ 전기차 충전 인프라 지원 중단 및 연비 규제 완화
🔹 주요 내용:
- 2025년 2월 11일, 트럼프 행정부는 주정부의 전기차 충전소 건설을 위한 30억 달러 지원 예산을 보류.
-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조치로 평가됨.
- 전기차 의무 판매 규제 폐지 가능성도 거론됨, 기존 자동차 제조사들의 로비 강화.
- 2024년 11월 19일, 트럼프 행정부는 연비 및 배출가스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발표, 이는 자동차 산업의 환경 규제를 후퇴시키는 조치로 해석됨.
🔹 시사점:
✔ 미국 내 친환경 교통산업 성장 둔화 및 기존 내연기관차 시장 유지 가능성
✔ 친환경 자동차 부품(경량 복합소재 등) 및 바이오플라스틱 적용 감소 우려
3️⃣ 환경보호청(EPA) 및 환경 정의 프로그램 축소
🔹 주요 내용:
- 2025년 2월 6일, 트럼프 행정부는 환경보호청(EPA)과 법무부(DOJ)의 환경 정의 프로그램을 축소하고, 관련 부서의 직원들을 대규모 감축.
- 공해 및 환경오염으로부터 소수자 및 저소득층을 보호하는 프로그램들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음.
- 이는 공장 폐기물, 유독 화학물질 배출 등 환경 규제가 약화될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됨.
🔹 시사점:
✔ 환경 보호 규제 약화로 인해 미국 내 친환경 소재 및 제품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
✔ 산업계의 규제 부담 감소 → 기존 플라스틱·석유화학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 가능성
4️⃣ 파리기후협정 탈퇴 선언 및 온실가스 규제 완화
🔹 주요 내용:
-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파리기후협정(Paris Climate Agreement) 탈퇴를 공식 선언.
- 이는 2021년 바이든 대통령이 복귀시킨 협정을 다시 철회하는 것으로, 미국이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서 이탈할 것임을 의미.
- 또한, 석유 및 가스 산업의 메탄 배출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발표하여, 온실가스 배출 증가 가능성이 있음.
🔹 시사점:
✔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친환경 기업에 대한 투자 감소 우려
✔ EU 및 아시아의 탄소국경세 강화 가능성 → 미국산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규제 증가할 가능성
⏩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변화는?
✅ 1) 미국 내 친환경 기업의 투자 감소 및 정책 불확실성 확대
→ 미국 내 친환경 스타트업과 재생에너지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조하던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친환경 기업에 대한 투자를 축소할 가능성 있음.
✅ 2) 국제 기후 협력 약화 및 탄소국경세 도입 가능성
→ 미국이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하면서 EU·중국·일본 등 주요국이 미국산 제품에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음.
→ 미국 기업들이 친환경 제품 채택을 줄이고, 이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동성이 커질 전망.
✅ 3) 바이오플라스틱 및 친환경 패키징 시장 위축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의 플라스틱 사용 장려 정책으로 인해, 미국 내 친환경 대체 소재(PLA, PHA 등)의 채택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
→ 유럽·아시아 시장으로 전략적 전환 필요.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 대상 확대! 최종 제품 생산자로 변경 (0) | 2025.03.08 |
---|---|
🏢 EU CSRD / CSDDD 개정안: 핵심 변화와 기업 영향 분석 (0) | 2025.02.28 |
LA산불 현황 및 피해(미국 역사상 가장 큰 피해규모?) (1) | 2025.01.15 |
유엔기후총회 COP29결과 COP30의제 (0) | 2025.01.12 |
트럼프 재취임(2025)의 기후 정책과 글로벌 영향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