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life/English

🍽 식당 웨이팅할 때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영어로 자연스럽게 묻는 법!

꿀귤_ 2025. 3. 16. 07:00
반응형

🍽 식당 웨이팅할 때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영어로 자연스럽게 묻는 법!

 

음식점에 갔는데 자리가 없어서 웨이팅 걸어야 할 때,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라고 영어로 자연스럽게 묻고 싶다면?

오늘은 원어민들이 실제 상황에서 자주 쓰는 표현을 다양하게 정리해볼게요!

✔ "How long is the wait?" → (웨이팅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 "How long will we have to wait?" →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 "How much longer will it be?" →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나요?)
✔ "What’s the estimated wait time?" → (예상 대기 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 "Is there a long wait for a table?" → (테이블 잡는 데 오래 기다려야 하나요?)
✔ "Can I get on the waiting list?" → (웨이팅

1️⃣ "How long is the wait?"

👉 (웨이팅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 가장 짧고 간단한 표현!
✔ 식당에서 줄이 길거나 예약 없이 방문했을 때 자주 씀.

💬 예문:
🔹 "Hi, how long is the wait?"
🔹 "It should be around 20 minutes."
(“안녕하세요, 웨이팅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 “약 20분 정도예요.”)

 

2️⃣ "How long will we have to wait?"

👉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 "How long is the wait?"보다 조금 더 자연스러운 대화체 표현
✔ 단순히 현재 대기 시간뿐만 아니라, 내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물을 때 적절!

💬 예문:
🔹 "Excuse me, how long will we have to wait for a table?"
🔹 "About 30 minutes, would you like to put your name down?"
(“실례합니다, 테이블을 받으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 “약 30분 정도 걸릴 거예요, 성함 적어드릴까요?”)

 

3️⃣ "How much longer will it be?"

👉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나요?)
이미 한참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얼마나 더 걸릴지 물을 때 유용!

💬 예문:
🔹 "We've been waiting for 20 minutes. How much longer will it be?"
🔹 "Just about 10 more minutes!"
(“20분 정도 기다렸는데, 얼마나 더 걸릴까요?” / “10분 정도만 더 기다려 주세요!”)

 

4️⃣ "What’s the estimated wait time?"

👉 (예상 대기 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 Estimated wait time = "예상 대기 시간" (조금 더 포멀한 느낌)
✔ 레스토랑, 병원, 고객 서비스 센터 등 공식적인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

💬 예문:
🔹 "Hi, what's the estimated wait time for a table?"
🔹 "We’re estimating about 25 minutes right now."
(“안녕하세요, 테이블 예상 대기 시간이 어떻게 되나요?” / “지금 약 25분 정도 예상됩니다.”)

 

5️⃣ "How long is the queue?" 🇬🇧

👉 (줄이 얼마나 길어요?)
✔ Queue는 영국식 영어로 "줄"을 의미
✔ 미국에서는 보통 "line"을 사용하지만, 영국, 호주 등에서는 "queue"가 더 일반적!

💬 예문:
🔹 "How long is the queue for a table?"
🔹 "About 15 minutes, but it’s moving quickly!"
(“테이블 기다리는 줄이 얼마나 길어요?” / “약 15분 정도인데 금방 줄어들 거예요!”)

 

6️⃣ "Are we looking at a long wait?"

👉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길까요?)
✔ 웨이팅이 길어질지 짧을지 상대적으로 물어볼 때!

💬 예문:
🔹 "Are we looking at a long wait tonight?"
🔹 "Not too bad! Around 20 minutes."
(“오늘 웨이팅이 길까요?” / “그렇게 길진 않아요! 20분 정도요.”)

 

🔥 조금 더 자연스러운 네이티브 표현!

7️⃣ "Is there a long wait for a table?"

👉 (테이블 잡는 데 오래 기다려야 하나요?)
✔ "How long is the wait?"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테이블 기다림 여부를 물을 때 사용

💬 예문:
🔹 "Hey, is there a long wait for a table?"
🔹 "Not at all! We can seat you in about 5 minutes."
(“안녕하세요, 테이블 잡으려면 오래 기다려야 하나요?” / “전혀요! 5분 정도면 자리 안내해 드릴 수 있어요.”)

 

8️⃣ "Can I get on the waiting list?"

👉 (웨이팅 리스트에 이름 올릴 수 있을까요?)
✔ 웨이팅이 있을 경우 자연스럽게 이름을 올려달라고 요청하는 표현

💬 예문:
🔹 "Looks like there’s a wait. Can I get on the waiting list?"
🔹 "Of course! What’s your name?"
(“웨이팅이 있는 것 같은데, 리스트에 올릴 수 있을까요?” / “그럼요!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9️⃣ "Do you take reservations?"

👉 (예약도 받나요?)
✔ 웨이팅이 길다면 미리 예약 가능한지 물어볼 때 사용

💬 예문:
🔹 "It looks busy tonight. Do you take reservations?"
🔹 "Yes! We recommend booking in advance for weekends."
(“오늘 되게 바빠 보이는데, 예약도 받나요?” / “네! 주말에는 미리 예약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 "Can I leave my number and get a call when my table is ready?"

👉 (제 번호를 남기면 테이블 준비되면 연락 받을 수 있나요?)
✔ 웨이팅이 너무 길어 다른 곳에 있다가 연락받고 돌아올 때 쓰는 표현

💬 예문:
🔹 "It’s a 45-minute wait? Can I leave my number and get a call when my table is ready?"
🔹 "Of course! We’ll text you when it’s ready."
(“45분 웨이팅이면, 제 번호 남겨두고 테이블 준비되면 연락 받을 수 있을까요?” / “그럼요! 준비되면 문자 드릴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