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서 딱! 써먹는 영어 표현들 🎯
"그건 알아보고 다음 회의 때 말씀드릴게요" 를 자연스럽게 영어로?
업무 회의 중 갑작스러운 이슈나 예상치 못한 질문이 나왔을 때, 이렇게 말하고 싶을 때 있죠:
“그 부분은 제가 확인해보고 알려드릴게요!”
영어로는 어떻게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영어 회의에서 상황에 맞게 딱! 맞는 표현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Look into – 뭔가를 ‘자세히 알아볼게요’
Look into는 어떤 사안에 대해 깊이 조사하거나 분석할 때 사용해요. 단순히 ‘보다’가 아니라, 뭔가를 심도 있게 들여다본다는 느낌이 강하죠.
🧠 Look into = 직접 조사해서 해결책이나 원인을 찾아보는 느낌
📌 실제 비즈니스 예문
- “I'll look into the delay in delivery and update the team by tomorrow.”
→ 배송 지연 원인을 조사해서 내일까지 팀에 공유할게요. - “Can you look into alternative vendors for this component?”
→ 이 부품에 대한 대체 공급업체를 조사해줄 수 있을까요?
📍언제 쓰면 좋을까?
- 문제가 처음 발견됐을 때
- 원인이나 해결책이 아직 불분명할 때
- 직접 파악해야 하는 상황
2️⃣ Check with – 누군가에게 ‘확인해볼게요’
직접 조사하는 게 아니라, 이미 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람에게 문의하는 경우엔 check with가 정답입니다.
🧠 Check with = 내가 모르는 걸 다른 관련자에게 물어볼 때
📌 실제 비즈니스 예문
- “I’ll check with Legal to confirm if we need a new contract.”
→ 법무팀에 새 계약서가 필요한지 확인해볼게요. - “Did you check with Sarah about the updated timeline?”
→ 업데이트된 일정에 대해 Sarah한테 확인했어요?
📍이럴 때 쓰기 딱!
- 특정 부서나 동료가 정보를 갖고 있을 때
- 내가 담당이 아닌 이슈일 때
- 내부 승인이나 확인이 필요할 때
3️⃣ Go over – 자료나 내용을 ‘검토하다’
업무에서는 보고서, 계약서, 기획안 등 문서나 내용 전체를 꼼꼼하게 확인하는 일이 많죠? 이럴 때는 go over가 적합합니다.
🧠 Go over = 하나하나 항목을 확인하며 검토하는 느낌
📌 비즈니스 예문
- “Let’s go over the agenda before the client call.”
→ 클라이언트 콜 전에 의제 내용을 검토해보자. - “I went over the financial report, and everything looks solid.”
→ 재무 보고서를 검토해봤는데, 문제 없어 보여요.
📍이런 상황에 Good!
- 회의 전 아젠다나 문서 확인할 때
- 계약서, 견적서 등 중요한 자료 확인 시
- 실수 없이 꼼꼼하게 체크할 때
4️⃣ Run by – 상사나 동료에게 ‘검토받다’
내가 만든 계획이나 아이디어를 상사나 동료에게 보여주고 피드백 받는 과정, 한 번쯤 경험 있으시죠? 이럴 땐 run (something) by (someone) 이 딱입니다.
🧠 Run by =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허락이나 의견을 받는 뉘앙스
📌 실무 예문
- “Before we finalize the slides, let me run them by Emily.”
→ 슬라이드 확정하기 전에 Emily에게 한 번 보여줄게요. - “I’ll run the proposal by the leadership team this afternoon.”
→ 오늘 오후에 리더십 팀에 제안서를 공유할 예정이에요.
📍이런 상황에서 자주 써요
- 상사/팀원에게 초안 보여줄 때
- 중요한 결정 전에 피드백 받을 때
- 아이디어 공유하고 의견 들을 때
5️⃣ Get back to – 나중에 다시 연락드릴게요
바로 답변을 못할 땐 get back to를 사용해서 “조금 있다가 다시 연락드릴게요” 라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요.
🧠 Get back to = 정보를 알아본 후 다시 연락주겠다는 의미
📌 실무 예문
- “I’m not sure about that. Let me check and I’ll get back to you.”
→ 그건 잘 모르겠네요. 확인하고 다시 알려드릴게요. - “I’ll get back to you once I hear from the vendor.”
→ 공급업체에게서 연락 오면 다시 연락드릴게요.
📍포인트는?
- 질문에 당장 답이 없을 때
- 연락을 반드시 다시 줄 것을 약속할 때
6️⃣ Follow up with – 후속 조치를 취하다
단순한 1회성 응답이 아니라, 계속해서 업무를 추적하고 추가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follow up with를 사용하세요.
🧠 Follow up with = 이전 일에 대한 후속 대응을 하다
📌 비즈니스 예문
- “We’ll follow up with the client next week to confirm their decision.”
→ 다음 주에 클라이언트와 후속 연락해서 결정 여부 확인할게요. - “Can you follow up with the marketing team on the launch materials?”
→ 마케팅팀에 출시 자료 관련해서 추가 확인해줄 수 있어요?
📍이럴 때 딱!
- 프로젝트 진행 중 후속 조치 필요할 때
- 고객 응대 후 만족도 확인할 때
- 일이 마무리되지 않고 계속될 때
7️⃣ Bring up – 안건/이슈를 꺼내다, 언급하다
회의 중 새로운 주제나 문제를 꺼낼 때 아주 자주 씁니다.
🧠 Bring up = 회의 중 어떤 주제를 말하기 시작할 때
📌 예문
- “I’d like to bring up an issue we faced during the rollout.”
→ 롤아웃 중에 발생한 문제를 하나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Thanks for bringing that up. It’s an important point.”
→ 그 얘기 꺼내줘서 고마워요. 중요한 내용이네요.
8️⃣ Chime in – 말참견하다, 의견을 덧붙이다
회의 중 다른 사람이 얘기하는 도중 간단히 의견을 보탤 때 유용한 표현!
🧠 Chime in = 끼어들어서 짧게 의견 제시
📌 예문
- “Can I just chime in real quick? I think we’re missing one point here.”
→ 잠깐만 말씀드려도 될까요? 우리가 한 가지를 놓치고 있는 것 같아요. - “Feel free to chime in if you have any thoughts.”
→ 의견 있으시면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9️⃣ Touch on – 간단히 언급하다, 짚고 넘어가다
어떤 주제를 자세히는 아니지만 가볍게 다루는 경우 사용합니다.
🧠 Touch on = 핵심만 짚고 지나가는 느낌
📌 예문
- “We’ll also touch on next quarter’s strategy at the end.”
→ 마지막엔 다음 분기 전략도 간단히 짚고 넘어갈 예정입니다. - “Let me just touch on the budget before we move on.”
→ 넘어가기 전에 예산 부분만 짧게 언급할게요.
🔟 Circle back – 나중에 다시 얘기하다 / revisit
지금 당장 결정 내리긴 이르지만, 나중에 다시 다뤄야 할 주제에 딱이에요.
🧠 Circle back = 주제를 미뤘다가 다시 돌아오는 느낌
📌 예문
- “Let’s circle back to this once we have more data.”
→ 데이터가 더 모이면 이 주제로 다시 얘기해보죠. - “Can we circle back to the pricing discussion later in the meeting?”
→ 가격 논의는 회의 후반부에 다시 다뤄도 될까요?
1️⃣1️⃣ Get the ball rolling – 시작하다, 본격적으로 착수하다
회의를 시작하거나 새로운 주제/프로젝트에 시동 걸 때 쓰면 원어민 느낌 확 올라가요.
🧠 Get the ball rolling = 뭔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함
📌 예문
- “Alright, let’s get the ball rolling on the Q2 planning.”
→ 그럼 2분기 기획 논의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까요? - “Who wants to get the ball rolling on this one?”
→ 이건 누가 먼저 말 꺼내줄래요?
1️⃣2️⃣ Keep someone in the loop – 계속 정보를 공유하다
회의에 못 들어온 사람이나, 관련자에게 업데이트를 계속 주겠다는 표현
🧠 In the loop = 정보 흐름 안에 있음
📌 예문
- “Can you keep me in the loop on this?”
→ 이 건에 대해서 계속 정보 공유해주세요. - “I’ll keep the team in the loop as we get updates from the client.”
→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데이트 받는 대로 팀에 계속 공유할게요.
1️⃣3️⃣ Take it offline – 회의 후에 따로 얘기하자
논의가 너무 길어지거나 본 안건에서 벗어났을 때 오프라인에서 논의하자는 표현
🧠 Take it offline = 지금은 적절치 않으니 나중에 따로 얘기하자
📌 예문
- “Let’s take that discussion offline – we’re short on time.”
→ 그 논의는 회의 끝나고 따로 얘기하죠. 지금은 시간이 부족하네요. - “Happy to take this offline and dive deeper after the meeting.”
→ 이 부분은 회의 끝나고 따로 더 자세히 얘기해볼게요.
'better life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뚜껑을 열다’도 영어로 다 다르게 표현한다?! (0) | 2025.03.30 |
---|---|
음식을 덜어 먹고 나눠 먹을 때 쓰는 영어 표현 모음 (0) | 2025.03.29 |
'실례지만…', '여쭤봐도 될까요?' 영어로 자연스럽게 말하는 법 (0) | 2025.03.25 |
영어 잘 못해도 OK! 원어민에게 천천히 말해달라고 부탁하는 쉬운 영어 표현 (0) | 2025.03.24 |
외국인 친구에게 가볍게 말 걸기! 부담 없이 툭 던질 수 있는 영어 질문들 🌟 (0) | 2025.03.22 |